원자로안전 영역
01. 안전운영 범주
비계획 원자로정지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원자로 임계시간 대비 원자로 임계가능시간 동안 발생한 원자로 정지 횟수로 평가합니다.
원자로 정지에 대한 정의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원자로.19 "원자력이용시설의 사고·고장 발생시 보고·공개 규정"에 따르고 있습니다. 계산식에서 "원자로 임계가능시간"이라 함은 계획예방정지 동안의 미임계 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정의하며, "원자로 임계시간"은 불시 원자로정지 등을 제외한 실제 원자로가 임계를 유지한 시간으로 정의합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3 | |
양호 | ![]() |
3 ≤ | 평가치 | < 6 |
보통 | ![]() |
6 ≤ | 평가치 | < 20 |
주의 | ![]() |
20 ≤ | 평가치 |
비계획 출력변동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원자로 임계시간 대비 원자로 임계가능시간 동안 발생한 20%이상의 원자로 비계획 출력변동 횟수입니다.
출력변동 자체는 안전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사건발생의 선행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6 | |
양호 | ![]() |
6 ≤ | 평가치 | < 12 |
보통 | ![]() |
12 ≤ | 평가치 | < 20 |
주의 | ![]() |
20 ≤ | 평가치 |
복잡한 비계획 원자로정지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반응도제어, 원자로냉각 등과 같은 안전기능의 성능저하가 원자로정지와 함께 발생된 횟수입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1 | |
양호 | ![]() |
1 < | 평가치 | |
보통 | ![]() |
평가치 | ||
주의 | ![]() |
평가치 |
02. 안전계통 신뢰도 범주
안전주입계통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안전주입계통의 운전가능성이 요구되는 시간 대비 운전불능한 시간의 분율입니다.
안전주입계통은 사고 발생 시 원자로의 냉각을 위해 원자로에 비상냉각수를 주입하는 기능을 갖는 중요 계통입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0.015 | |
양호 | ![]() |
0.015 ≤ | 평가치 | < 0.05 |
보통 | ![]() |
0.05 ≤ | 평가치 | < 0.1 |
주의 | ![]() |
0.1 ≤ | 평가치 |
비상발전기계통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비상디젤발전기의 운전가능성이 요구되는 시간 대비 운전불능한 시간의 분율입니다.
사고 발생 시 사고의 결과를 완화하는데 필요한 계통과 기기들을 가동하려면 전기 동력원의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비상디젤발전기는 소외전원 상실에 대비하여 별도로 설치되어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중요 설비입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0.025 | |
양호 | ![]() |
0.025 ≤ | 평가치 | < 0.05 |
보통 | ![]() |
0.05 ≤ | 평가치 | < 0.1 |
주의 | ![]() |
0.1 ≤ | 평가치 |
보조급수계통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보조급수계통의 운전가능성이 요구되는 시간 대비 운전불능한 시간의 분율입니다.
보조급수계통은 사고 발생 시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제거하기 위해 증기발생기에 비상급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중요 계통입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0.015 | |
양호 | ![]() |
0.015 ≤ | 평가치 | < 0.05 |
보통 | ![]() |
0.05 ≤ | 평가치 | < 0.1 |
주의 | ![]() |
0.1 ≤ | 평가치 |
잔열제거계통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잔열제거계통의 운전가능성이 요구되는 시간 대비 운전불능한 시간의 분율입니다.
잔열제거계통은 사고 발생 시 원자로의 열을 장기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중요 계통입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0.015 | |
양호 | ![]() |
0.015 ≤ | 평가치 | < 0.05 |
보통 | ![]() |
0.05 ≤ | 평가치 | < 0.1 |
주의 | ![]() |
0.1 ≤ | 평가치 |
냉각수계통 지표
누적 4분기를 기준으로 냉각수계통의 운전가능성이 요구되는 시간 대비 운전불능한 시간의 분율입니다.
사고 발생 시 사고완화를 위해 필요한 안전계통과 안전성 관련 기기의 냉각을 위해서는 최종 냉각수의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0.015 | |
양호 | ![]() |
0.015 ≤ | 평가치 | < 0.05 |
보통 | ![]() |
0.05 ≤ | 평가치 | < 0.1 |
주의 | ![]() |
0.1 ≤ | 평가치 |
안전관련설비고장 지표
안전관련설비에서 발생한 설비고장의 횟수입니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5가지 안전계통 외에도 다양한 안전계통의 운전이 필요합니다. 개별 지표로 반영할 수 없는 안전관련 설비 전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안전관련설비고장 지표를 사용합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8 | |
양호 | ![]() |
8 < | 평가치 | |
보통 | ![]() |
평가치 | ||
주의 | ![]() |
평가치 |
03. 안전방벽 범주
핵연료 건전성 지표
1차 냉각재계통 내 Iodine 131(I-131) 등가선량(비방사능) 최대 농도의 운영기술지침서 제한치에 대한 백분율입니다.
원자력발전소에는 방사성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겹의 방호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첫 번째 방벽은 핵연료 피복관입니다. 핵연료 피복관의 손상이 발생되면 1차 냉각재계통 내의 I-131 비방사능 농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핵연료의 건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제한치의 50% | |
양호 | ![]() |
제한치의 50% ≤ | 평가치 | < 제한치의 70% |
보통 | ![]() |
제한치의 70% ≤ | 평가치 | < 제한치의 100% |
주의 | ![]() |
제한치의 100% ≤ | 평가치 |
1차 냉각재계통 건전성 지표
1차 냉각재계통 최대 누설률의 운영기술지침서 제한치에 대한 백분율입니다.
1차 냉각재계통은 핵연료 피복관 다음의 두 번째 방호벽으로서 폐회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1차 방호벽인 핵연료 피복재가 손상되더라도 1차 냉각재 계통의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차 방벽 역할을 합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평가치 | < 제한치의 50% | |
양호 | ![]() |
제한치의 50% ≤ | 평가치 | < 제한치의 70% |
보통 | ![]() |
제한치의 70% ≤ | 평가치 | < 제한치의 100% |
주의 | ![]() |
제한치의 100% ≤ | 평가치 |
격납건물 건전성 지표
종합 누설률 시험과 국부 누설률 시험 결과를 운영기술지침서의 제한치와 비교, 평가하여 산출합니다.
격납건물은 방사성 물질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막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격납건물 건전성 지표는 종합·국부 누설률 시험 결과와 운영기술지침서에 규정하고 있는 허용누설 제한치를 비교하여 평가합니다.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90% ≤ | 평가치 | |
양호 | ![]() |
80% ≤ | 평가치 | < 90% |
보통 | ![]() |
60% ≤ | 평가치 | < 80% |
주의 | ![]() |
평가치 | < 60% |
비상대책 지표
비상훈련실적, 비상요원 교육실적, 비상대응시설 유지 상태 및 실제 비상대응결과를 종합하여 평가합니다.
[비상발생시 적용]
[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방사선비상대책은 다중방벽 개념과 같은 물리적인 방벽은 아닙니다. 하지만, 비상대책이 방사선 비상사고 발생 시 발전소 직원뿐 만 아니라 일반 대중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방벽 지표 중 하나로 간주하여 이 범주 내에 포함하였습니다.
실제 비상대응결과 평가표
대응능력평가 | 평가기준 | 평가결과(%) |
---|---|---|
상 | 절차서준수 | 50 |
중 | 절차서미흡 | 40 |
하 | 절차서위반 | 20 |
경계값
등급 | 색깔 | 경계값 | ||
---|---|---|---|---|
우수 | ![]() |
90% ≤ | 평가치 | |
양호 | ![]() |
80% ≤ | 평가치 | < 90% |
보통 | ![]() |
60% ≤ | 평가치 | < 80% |
주의 | ![]() |
평가치 | < 60% |